<p></p><br /><br />[앵커] <br>정부가 수능에서 손보려는 과목은 언어영역 국어 뿐이 아닙니다.<br> <br>수리 1, 수학도 있습니다. <br> <br>교육 과정에서 벗어나는 대학 수준의 수학 문제는 수능에서 제외할 예정입니다. <br> <br>이런 융합, 비문학, 대학 수학을 킬러 문항이라고 부르는데요. <br> <br>킬러 문항은 없애되 교과 과정 내에서 변별력을 두는 '준킬러문항'을 만들 계획입니다. <br> <br>이동은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2023학년도 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 공통 22번 문항입니다. <br> <br>EBS 해설지에 따르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'합성함수'의 그래프를 그릴 수 있어야 합니다.<br> <br>지난해 야당은 수능 이후 이 합성함수 문제를 포함해 "수학 문제 46개 중 8개가 고교 교육과정의 수준과 범위를 벗어났다"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. <br> <br>[김필립 / 수학 교육법인 대표] <br>"고등학교에서 배운 것만으로는 사실은 연계나 확장 내지는 사고력의 증폭, 이런 거 없이는 사실 손대기 힘든 문제들이 나오죠." <br> <br>정부는 사교육에서만 접할 수 있는 '대학교 수준'의 수학 문제를 모의평가와 수능에 출제하지 못하도록 할 방침입니다. <br> <br>정부 핵심 관계자는 채널A에 "학생들이 대학교 문제를 미리 풀어봐야 되는 소지가 있는지 꼼꼼히 점검할 것"이라고 말했습니다.<br> <br>여당과 정부는 9월 모의평가부터 교과 과정을 벗어난 초고난도 문제인 '킬러문항'을 없애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이태규 / 국민의힘 교육위 간사] <br>"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은 출제를 배제하고 적정 난이도가 확보되도록 출제기법을 고도화하며…" <br><br>대신 교과 과정 범위 안에서 변별력을 가리는 '준(準)킬러문항'을 만들겠다는 계획입니다. <br> <br>정부는 수능 출제위원 중 대학 교수 비율을 줄이고 고등학교 교사 비율을 늘리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동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홍승택 <br>영상편집 : 배시열<br /><br /><br />이동은 기자 story@ichannela.com